국립극장 뮤지컬 시카고를 보기 위해 국립극장에 다녀왔다. 국립극장 자체를 보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는데 마침 공연까지 보게 됐다. 국립극장은 서울시청 맞은편에 있는 지금의 서울시의회청사가 첫 둥지였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박정희 정권에 들어서 지금의 남산 국립극장 터로 이전하게 됐다. 설계를 맡은 이는 이희태 선생으로 경회루를 모티브로 재해석해 국립극장을 지었다. 하지만 노후화와 더불어 내부 공간이 협소한 탓에 이희태 선생의 후학들이 최신 건축 언어로 재해석해 지금의 국립극장이 되었다. 국립극장은 기둥 사이의 수직벽을 투명한 유리로 교체하면서 권위주의적 색채를 빼는 데 성공했고, 소수의 VIP를 위한 귀빈석과 귀빈용 중앙홀을 없앴다. 국립극장은 민주주의와 평등을 담은 장소로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뮤지컬..
서울 여행에 앞서 너무도 유명하고 자주 찾아갔던 북촌마을과 인사동, 가로수길 등은 계획에서 제외했다. 첫째날 서울 한양도성 관광안내지도를 따라 한양도성길을 걷는다. 동대문역 10번 출구에서 시작해서 인의예지를 따라 동서남북으로 지은 4대문(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을 따라 걷는다. 흥인지문(동대문) - 광희문 - 남소문터 - 숭례문(남대문) - 돈의문터(서대문, 강북삼성병원) - 창의문 - 숙정문(북대문) - 혜화문 - 흥인지문(동대문)까지가 일정이었으나 창의문에서 숙정문(북대문)까지는 휴관일이라 스탬프를 찍지 못했고, 숙정문(북대문)에서 흥인지문(동대문)까지는 대중교통으로 이동했다. 결국 창의문 이후부터는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복귀했다. 흥인지문(동대문)에서 숭례문까지 길이 참 좋았다..
무더운 여름 방학을 맞아 여행 계획을 세우고 있다. 여행 목적지는 서울이다. 나는 충남 당진에서 태어나고 경기도에서 자랐다. 안양, 시흥, 안산에서 학창시절을 보냈고 대학은 다시 충청도에서 다녔다. 졸업 후 다시 안산으로 돌아왔다. 남들에게 자랑할만큼 많은 여행을 다니지는 않았지만 함부르크, 파리, 비엔나, 교토, 오사카, 보스턴, 뉴욕, 워싱턴,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등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 대도시를 경험 내지 관광을 해봤다. 하지만 정작 서울에 대해서는 간접적으로 경험했을뿐 자세히 알지는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여행은 말도 잘 통하고 경기도민에게는 생경한 서울로 목적지를 정했다. 머릿속으로 상상한 서울 구경 무한도전에서 자이언티의 양화대교를 들으며 양화대교를 떠올리게 됐다. 그리..
“국정원 불법, 안보라는 말로 감추지 마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02596.html 우리나라만큼 무능한 정보기관을 가진 나라가 있을까? 국정원이라는 명사가 익숙해질 정도로 신문과 방송에 오르내리고 심지어 정보기관이 제대로 일도 처리하지 못해 꼬리가 잡힌다. 영화에서 상상하던 007을 우리나라에서 영화로 제작한다면 비웃음만 살 뿐이다. 일은 이렇게 못나게 처리하면서 북한 이슈들만 나오면 준전시체제, 안보를 외쳐댄다. 안하무인에 적반하장이다. 권력의 시녀에게는 국가 안보를 말할 자격이 없다. 한겨레는 국정원 해킹 의혹이 수그러들지 않는 이유를 불신, 무능, 불법이라고 설명한다.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필요하다 http://www.h..
다음과 카카오톡이 만나 다음카카오가 되었다. 아직 초기라 시인성이라든지 검색이라든지 불편한 점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네이버 보다는 다음을 선호한다. 지금 티스토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이다. 구글처럼 새로운 세상을 여는 포털은 아니지만 다음은 네이버만큼 대한민국 사회에 해악을 주지는 않는다. 만약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영어권 국가였다면 구글을 사용하겠지만 구글은 한국 사회에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뉴스펀딩이란 수용자가 원하는 기사를 사전에 ‘주문’하는 뉴스 생산 방식이다. 기존 매체가 생산한 기사를 단순히 소비하는 데 머물던 것에 비추어 볼 때 뉴스펀딩은 미디어 수용자가 생산자의 구실을 하게 되는 시스템이다(위키백과). 천편일률적이고 획일적인 신문과는 다르다. 펀딩을 통해 내가 관심있는 분야와..
[세상 읽기] 유럽의 독일화를 우려한다 / 김누리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01877.html) 유럽연합(EU)는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가 이끌고 있다. 유럽의 맹주라고 할까. 이 오피니언은 노벨 문학상 귄터 그라스의 주장을 빌려 '독일의 유럽화와 유럽의 독일화'를 고민한다. 독일의 유럽화는 역사인식, 인권을 기반으로 유럽 속에 녹아드는 독일을, 유럽의 독일화는 경제적 지배와 수출 민족주의를 쫓는 독일을 대비시켜 독일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스 사태를 기점으로 독일은 유럽연합 안에서의 선택을 강요당하고 있다. 이 오피니언에서는 제레미 리프킨의 '유러피언 드림'을 통해서도 알 수 없었던 현실이 담겨있다. 클린턴 공약1호 이익공유제…정글자본주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