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함께 사는 세상(ig;yibumsuk)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함께 사는 세상(ig;yibumsuk)

검색하기 폼
  • 전체 (616)
    • This is Lee (207)
      • 삶의 기술 (0)
      • 유럽여행기 (3)
      • 책 (68)
      • 시사 (57)
      • 미디어 (48)
      • 영화 (11)
      • 미술,조각,건축 (1)
      • 교육 (0)
      • 생활 (7)
      • 논문 (3)
      • ────── (0)
      • 정책개발 (2)
      • 조세제도 (1)
      • 경제노동환경 (3)
      • 복지정책 (1)
      • 교육인적자원 (0)
      • 안보국방 (1)
      • 세계평화외교 (0)
      • 종교 (0)
    • 시사이야기 (117)
      • 나는 꼼수다 (31)
      • 정치 (78)
      • 경제 (1)
      • 사회 (4)
    • 세상이야기 (101)
    • 지식이야기 (66)
      • 지식채널e (39)
    • 일상이야기 (6)
    • 정책이야기 (1)
    • └ 정책개발 (24)
      • Affirmative action (1)
      • 국민주도권 (0)
      • 과거사청산 (3)
      • 마에스터제도 (0)
      • 번역가양성 (0)
      • 사법제도개혁 (3)
      • 선거법개정 (3)
      • 언론민주화 (5)
      • 의무투표제 (1)
      • 정책개발기구 (6)
      • 정책실명제 (0)
      • 지속가능한발전 (0)
      • 청소년참정권 (1)
    • └ 경제노동환경 (8)
      • 겐트제도(고용보험개편) (1)
      • 공무원노조 (0)
      • 공정거래제도 (0)
      • 내수시장확충 (0)
      • 부동산정책 (0)
      • 비정규직개선 (4)
      • 실질최저임금제 (1)
      • 신성장동력 (0)
      • 자유무역협정 (1)
      • 재벌개혁 (1)
      • 징벌적배상제도 (0)
      • 카드수수료인하 (0)
    • └ 조세제도 (3)
      • 부자증세(버핏세) (0)
      • 서민감세(간접세등) (0)
      • 세출구조조정 (1)
      • 영소상공인세금인하 (0)
      • 조세구조개혁 (2)
    • └ 복지정책 (4)
      • 고등교육지원 (0)
      • 국민연금정비 (0)
      • 무상교육 (0)
      • 무상의료 (1)
      • 사법접근성 (0)
      • 소외계층지원 (0)
      • 일자리지원 (2)
      • 주거지원 (0)
      • 희망도서관 (1)
    • └ 안보국방 (0)
      • 군가산점제도 (0)
      • 병역대체복무제 (0)
      • 사회지도층특별관리 (0)
      • 식량 (0)
      • 전시작전통제권 (0)
      • 자원 (0)
    • └ 교육인적자원 (2)
      • 기술(IT)교과강화 (0)
      • 노동경제교육 (0)
      • 미디어교육 (0)
      • 사학법개정 (0)
      • 수학능력시험개선 (0)
      • 의무교육절대평가 (0)
      • 역사국어교육강화 (1)
      • 인터넷도서관 (0)
      • 융합학문개선 (0)
      • 자녀를위한부모교육 (0)
      • 재외국민교육 (0)
      • 학급인원감축 (1)
    • └ 세계평화외교 (7)
      • 세계평화 (0)
      • 평화통일 (1)
      • 동북아정세 (0)
      • 태평양정세 (0)
      • 열린사회와 그 적들 (0)
    • └ 종교 (0)
      • 세금내는교회 (0)
      • 진리있는교회 (0)
      • 헌금없는교회 (0)
    • 안티조중동 (45)
  • 방명록

진중권 (4)
노무현은 왜 볼드모트가 되었는가

노무현은 왜 볼드모트가 되었는가 - 영화는 영화 자체로만 봐야하나? (다음) 영화 변호인이 개봉 2주 만에 600만 관객을 돌파하며 1000만 관객은 기정사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영화 '변호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인권변호사 길을 걷게 했던 부산의 학림 사건(부림 사건)을 모태로, 실존했던 한 고졸 변호사가 사회참여로 나아가는 성장기를 영화를 통해 그리고 있습니다(영화 '변호인', '안녕들 하십니까'에 답하다). 한편, 영화가 흥행을 이어가자 관심이 집중되면서 때 아닌 감상평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쟁이 되었던 이동진 씨와 허지웅 씨의 감상평과 함께 전부터 이야기하고 싶었으나 이야기하지 못했던 영화 '디 워' 이야기까지 함께 적어보겠습니다. 영화는 영화 자체로만 봐야할까? 이동진 씨의 변..

This is Lee/시사 2014. 1. 3. 05:12
정봉주 재판을 보는 다른 시각 ('지식인의 오류'에 빠진 진중권 교수에게)

최근 진중권 교수가 트위터에 '정봉주 재판' 관련 글을 쓰면서 트위터 논쟁이 치열했습니다. 진중권 교수는 사법부의 결정이 일정 부분 수긍할 수 있다며, '나는 꼼수다 애청자들'의 정봉주 옹호를 비판했습니다. 한편 딴지일보에는 진중권 교수에 대한 글이 무려 3개나 메인에 장식됐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화제가 된 '정봉주 재판'에 대해서 새로운 시각으로 돌아보려 합니다.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영화 '그래도 나는 하지 않았어'에서는 성추행 혐의로 몰린 결백한 피의자가 재판부의 오판으로 인해 유죄 판결을 받습니다. 재판부가 진실을 밝혀주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하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주인공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나는 처음으로 이해했다. 재판은 진실을 밝히는 곳이 아니다. 피고..

This is Lee/시사 2012. 1. 12. 14:20
공지영, 김연아, 종편 그리고 윤리에 대해서

공지영 작가의 트위터에 종합편성채널에 출연한 김연아, 인순이 비판이 화제가 됐습니다. 종합편성채널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가 기존의 영화, 음악 등 전문채널에서 벗어나 영화, 음악을 비롯한 드라마, 예능, 보도 등 종합적인 내용을 다룰 수 있는 방송채널입니다. 이런 보수언론들이 종편을 제작하다보니 종편행 연예인들에 대한 비판이 줄곧 제기됐었습니다. 무엇보다 시청율 1%미만인 종편이 특혜 광고수임료로 공중파 채널의 70%를 받는 모순된 일이 벌어지면서, SNS를 중심으로 '종편채널 삭제 놀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뭔가 찜찜한 종합편성채널과 최근 이슈에 관한 윤리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피겨스타 김연아와 가수 인순이의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 출연을 비난했던 작..

This is Lee/시사 2011. 12. 3. 22:50
무상급식 진중권 vs 전원책

[야! 한국사회] 구국의 밥그릇 / 진중권[한겨레] 처음에는 그냥 농담하는 줄 알았다. 예산 660억짜리 정책을 위해 180억을 들여 투표를 하는 것은 에나 등장할 만한 초현실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속담이 딱 이런 경우를 가리킬 게다. 여기서 ‘180억보다 660억이 더 크다’라고 반론을 펴는 ‘모지리’가 있다면, 그에게는 배 면적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배꼽이라 해서 그보다 덜 우스운 것은 아니라고 대꾸해주련다. 660억 때문에 나라가 망한다는 주장은 개그로 넘기자. 660억이면 삼성그룹 이사 10명의 연봉에 해당한다. 그 돈이 없어서 망할 나라라면, 오세훈 서울시장 손에 진작에 망해도 최소한 여덟 번 이상 망했다. 그가 한강 르네상스니 뭐니 해서 서울에 회칠하는 데에 쓴 돈만..

시사이야기/정치 2011. 8. 16. 19:58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